3 minute read

KT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배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 특별시의 시간대별, 구별로 주문의 정도(많음, 보통, 적음)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떤 데이터를 추가로 활용하여 모델을 만들고, 성능을 높였는지 코드를 정리해보자.

Delivery Project 전처리 및 EDA Part.1

1. 데이터 탐색

#사용할 라이브러리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import seaborn as sns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warnings
warnings.filterwarnings(action='ignore')
plt.rc('font', family='NanumBarunGothic') 
from category_encoders import OneHotEncoder,OrdinalEncoder, TargetEncoder
from sklearn.pipeline import make_pipeline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from sklearn.metrics import mean_absolute_error, mean_squared_error, r2_score
from sklearn.linear_model import LogisticRegression 
from sklearn.metrics import accuracy_score, f1_score, precision_score, recall_score, roc_curve, roc_auc_score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
from xgboost import XGBClassifier
from lightgbm import LGBMClassifier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from sklearn.metrics import accuracy_score, f1_score, precision_score, recall_score, roc_curve, roc_auc_score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RandomizedSearchCV
from scipy.stats import randint, uniform
import json
from urllib.request import urlopen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from tqdm import tqdm
#데이터 불러오기
DATA_PATH = '......'

df_19 = pd.read_csv(f'{DATA_PATH}delivery_2019.csv', names = ['날짜', '시간', '업종', '시도', '구', '주문건수'])
df_20 = pd.read_csv(f'{DATA_PATH}delivery_2020.csv', names = ['날짜', '시간', '업종', '시도', '구', '주문건수'])
df_21 = pd.read_csv(f'{DATA_PATH}delivery_2021.csv')
df_21 = df_21.rename(columns = {'date' : '날짜', 'hour' : '시간', 'category' : '업종', 'sido': '시도', 'gu' : '구', 'order' : '주문건수' })

데이터는 밑의 이미지처럼 날짜, 시간, 업종, 시간, 구, 주문건수 변수로 이루어져 있다.

display(df_19.head())

image



도단위로 주문건수를 시각화한 그래프. 경기도가 주문량이 젤 많고, 서울특별시는 도 단위가 아닌데도 주문량이 두번째로 많다.

df_all = pd.concat([df_19,df_20,df_21], axis = 0)
df_pie = (df_all.groupby(['시도'])['주문건수'].sum().sort_values(ascending = False).to_frame() / sum(df_all['주문건수'])) * 100
fig = plt.figure(figsize = (8,15))
plt.pie(df_pie['주문건수'].iloc[:10], labels = df_pie.index[:10], autopct = '%.2f%%',textprops={'fontsize': 14})
plt.show()

image



시 단위로 주문건수를 시각화한 그래프. 서울특별시가 의정부시 다음으로 주문량이 많다.

df_gu = df_all.groupby(['구'])['주문건수'].sum()
df_seoul = df_all.loc[df_all['시도'] == '서울특별시'].groupby('시도')['주문건수'].sum()
df_pie2 = pd.concat([df_gu, df_seoul], axis = 0).sort_values(ascending = False)
fig = plt.figure(figsize = (8,15))
plt.pie(df_pie2.iloc[:10], labels = df_pie2.index[:10], autopct = '%.2f%%',textprops={'fontsize': 14})
plt.show()

image



가장 배달이 활발한 의정부시를 사용하면 좋겠지만, 의정부시는 주어진 데이터에서 동 단위로 세분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더 정확하고 세분화된 인사이트 도출을 위해 데이터에 구별로 세분화 되어 있는 서울 특별시를 타겟도시로 선정하자.

#결측치와 중복 데이터가 없는 것을 확인
df_all = df_all.loc[df_all['시도'] == '서울특별시']
display(df_all.head())

print(df_all.isnull().sum())
print(df_all.duplicated().sum())

image



가장 많이 팔리는 배달음식 종류 확인. 치킨이 제일 많다. 도시락과 심부름은 주문 건수가 1퍼센트 미만이므로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해서 제거하자.

df_pie = pd.DataFrame((df_all.groupby('업종')['주문건수'].sum().sort_values(ascending = False) / sum(df_all['주문건수'])) * 100)
df_pie
fig = plt.figure(figsize = (8,15))
plt.pie(df_pie['주문건수'], labels = df_pie.index, autopct = '%.2f%%', textprops={'fontsize': 14})
plt.show()

df_all = df_all.loc[~df_all['업종'].isin(['도시락', '심부름'])]

image



2. Target 변수 선정

타겟도시를 서울 특별시로 선정했고 원래 시간대별 구별 주문건수를 예측하려고 했다. 하지만, 구별 주문건수를 예측하는 것보다 주문이 얼마나 될 것인지의 정도(많음, 보통, 적음)를 예측하는 것이 더 좋은 분석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만약에 데이터가 지점단위로 세분화 되어있다면 주문의 많고 적음을 나타내는 정도를 예측하는 것보다 그 식당에서 몇건의 주문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이 더 좋은 분석이 될테지만, 시간대별 구단위로 예측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문의 건수가 각 지점의 입장에서 크게 와닿지 않을 것 같아서 주문 건수를 기반으로 주문 정도 변수를 생성하고 구별로 주문의 많고 적음을 예측하는 것이 더 유용한 분석이라고 판단했다.

Ex) 내일 마포구에서 100건 정도의 주문이 발생할거야! -> 100건이 많은건가???우리 식당에서는 그럼 몇 건 정도 발생하는데??

내일 마포구에서는 주문이 많이 들어올거야! -> 내일은 많이 팔리는구나! 평소보다 더 준비를 해야겠다.

#2건까지 주문 적음(1), 4건까지 주문 보통(2), 5건부터 주문 많음으로 하자(3)
df_all['주문건수'].quantile([0.35,0.65,0.85,0.95]) 

image



df_all.loc[df_all['주문건수'] <= 2, '주문정도'] = 1
df_all.loc[(df_all['주문건수'] > 2) & (df_all['주문건수'] <= 4), '주문정도'] = 2
df_all.loc[df_all['주문건수'] > 4, '주문정도'] = 3
display(df_all.head())

image



df_all['주문정도'] = df_all['주문정도'].astype(int)
df_all['주문정도'].value_counts(normalize = True) #class가 엄청 불균형 하지는 않은 것 같다.

image



#data leak을 피하기 위해 주문 건수는 제거
df_all.drop(columns = ['주문건수'],inplace = True)



3. Baseline 모델(Logistic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모델을 활용하여 baseline 모델을 만들어보자. 이 모델의 성능보다는 더 좋은 성능을 내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가 될 것이다. 주문의 정도인 많음(3), 보통(2), 적음(1)을 예측하고 분류해야 할 대상이 3개이상이므로 다중 분류 모델이 될 것이다.

학습, 검증, 테스트 데이터로 분리

X_train, X_test = train_test_split(df_all, test_size = 0.2, random_state = 42)
X_train, X_val = train_test_split(X_train, test_size = 0.2, random_state = 42)
y_train, y_val, y_test = X_train.pop('주문정도'), X_val.pop('주문정도'), X_test.pop('주문정도')
display(X_train.head())
display(X_val.head())
display(y_train.head())

image



#파이프를 넣으면 정확도와 AUC를 계산하는 함수
def accuracy_and_auc(pipe):
    print('학습 정확도', pipe.score(X_train, y_train))
    print('검증 정확도', pipe.score(X_val, y_val))
    y_prob = pipe.predict_proba(X_train)
    print('학습 AUC',roc_auc_score(y_train, y_prob, multi_class="ovr", average="weighted"))

    y_prob = pipe.predict_proba(X_val)
    print('검증 AUC', roc_auc_score(y_val, y_prob, multi_class="ovr", average="weighted"))
    

Logistic Regression 모델

pipe_glm = make_pipeline(OneHotEncoder(use_cat_names = True),
                       LogisticRegression(solver='liblinear', multi_class='auto', C=100.0, random_state=42))  
# C는 규제. RIdge와 다르게 작을수록 규제가 큰 것. 과적합 방지

pipe_glm.fit(X_train, y_train)

#과적합은 없지만 정확도는 별로 높지 않다.
accuracy_and_auc(pipe_glm)

image



추가적인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다중분류 모델을 만들었을 때 학습 데이터와 검증데이터에서는 정확도가 58%, AUC가 약 0.71 정도가 나왔다. 이 모델보다 더 좋은 성능을 내는 모델을 만들기 위해 다음 포스팅에서는 여러 변수들을 추가한 내용과 전처리 작업을 정리해보겠다.

Categories:

Updated: